구글 SA, 세팅은 어렵지 않습니다. 지속적인 관리가 힘들뿐...
마케터 이미지
이동명 마케터
2025-10-16

조회수 : 73

댓글 0
안녕하세요 :) 
AMPM글로벌 이동명 AE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인사이트로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정말 많은 팔로워분들과 클라이언트분들께서 DM으로 요즘은 왜 글을 안써주시냐는 쇄도에 밀려 드디어 글을 쓰게 되었네요 ㅎ

오늘은 구글 SA내용을 좀 다뤄보고자 해요!

네이버나 카카오와는 다르게 다소 생소한 대시보드나 UI때문에 구글세팅이나 키워드 관리가 어렵다고 느끼셔서 세팅에 벽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한 쉽고 간단한 세팅법과 추후 관리법을 안내드릴까 합니다.


구글SA는 사실 거창하게 공부할 필요는 없고 [검색유형]만 알아도 효율적인 세팅을 할수가 있어요

1. 검색유형이란?

image.png

구글 검색광고(Search Ads, SA) 는 사용자가 검색한 키워드가 우리가 지정한 키워드와 얼마나 유사한지를 기준으로 광고 노출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유사도 허용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로 검색 일치 유형(Match Type) 입니다.

구글 검색광고에는 총 3가지 검색유형을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확장/구문/일치 검색으로 나뉘는데 차근차근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설정 키워드                                                                                                            사 용자가 검색한 문장                                                                        
광고 노출 여부            이유
                  확장 일치: 가방                            “여성 백 추천”, “남자 가죽가방 브랜드”, “가방끈 수리”‘가방’과 의미상 관련된 검색어 모두 포함
구문 일치: “가죽 가방”“남자 가죽 가방 추천” ✅ / “가방 가죽 수선” ❌✅/❌구문 순서가 유지된 검색만 허용
정확 일치: [가죽 가방]“가죽 가방” ✅ / “가죽 가방 추천” ❌✅/❌지정된 단어 그대로 일치해야 함



확장일치는 말그대로 사용자의 검색어와 내가 등록한 키워드와의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노출시키는 구조입니다.

가방이라는 키워드를 등록한 후 확장일치로 설정했을 때 

"여상 백 추천", "남자 가죽가방 브랜드" 등 관련된 키워드에 노출되는 시스템이에요. 

세팅초기에 키워드를 하나 하나 추가 및 조합해가며 세팅하는 것보다 훨씬 리소스를 덜어주는 장점이 있는 반면....!

관련이 없거나 제공하지않는 제품 또는 서비스의 검색어에도 노출될 수 있다는게 함정이죠...

때문에 [제외검색]기능을 통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입니다


구문일치도 등록한 키워드보다 확장된다는 점에서 비슷한점이 있습니다.

다만 구문일치는 내가 등록한 키워드가 정확히 "포함"되어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죽 가방"이라는 키워드를 등록해 놓았을 때 

"남자 가죽 가방 추천" 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검색어에 노출이 되지만 

"가방 가죽 수선" 또는 "남자 가죽 백팩" 과 같은 정확히 일치하는 키워드가 아니면 노출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일치검색입니다

일치검색은 정말 말 그대로 검색어와 등록한 키워드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에만 광고가 노출되는 시스템이에요

그 외 연관되거나 키워드가 포함된 구문에는 노출이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업종 또는 상황에 맞게 검색유형을 사용해야 효율을 높일 수 있어요

구글 검색광고에서 "어떤 검색유형을 쓰느냐"는 업종에 따라 효율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많은 광고주분들이 처음엔 ‘확장 일치’, ‘구문 일치’, ‘정확 일치’가 그냥 노출 범위 차이라고만 생각하지만, 

사실 이건 업종의 비즈니스 모델과 구매 여정에 맞춘 전략 선택이에요.


2. 업종 별 검색유형?

1) 구문일치를 선호하는 업종

의료나 클리닉, 법률·세무, 교육·자격증, B2B 솔루션 같은 업종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런 업종은 사용자가 이미 명확한 목적을 가지고 검색을 합니다.

“강남 교정치과”, “토익 인강 추천”, “법인세 절세 컨설팅”처럼 구체적이죠.


따라서 이런 업종은 **‘의도 중심형 검색’**을 잡아내는 게 중요하고,

광고비를 아껴야 하는 상황에서도 효율적으로 고객을 만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전환 중심 업종 = 구문 일치 중심 세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확장일치를 선호하는 업종

반면, 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여행, 음식, 인테리어 같은 업종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이 업종의 고객은 구매 전 단계에서 탐색형 검색을 많이 하거든요.

봄 데일리룩 추천”, “집 꾸미기 아이디어”, “여름 여행지”, “저녁 뭐 먹지” 같은 키워드들이죠.

이런 경우엔 ‘확장 일치’를 활용해야 합니다.

왜냐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브랜드명이나 상품명을 몰라도,

구글의 알고리즘이 의미상 유사한 검색어를 찾아서 광고를 노출시켜주기 때문이에요.

즉, **“인지·탐색 중심 업종 = 확장 일치 중심 세팅”**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새로운 브랜드를 알리고, 아직 나를 모르는 고객층에게 다가갈 때 유용하죠.


3) 일치검색를 선호하는 업종
사실 일치검색에 적합한 업종이란건 따로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광고비가 한정적이라 정말 필요한 메인키워드 또는 효율이 있는 키워드만 사용해야하는 경우,

흩뿌려놓은 키워드에서 전환성과가 유별나게 좋아 개별적인 관리가 필요한 키워드가 있을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

어찌보면 관리의 최종단계가 일치검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 정확한 의도, 전환 중심 업종구문 일치(또는 정확 일치)

  • 탐색형 검색, 인지도 중심 업종 확장 일치

결국 중요한 건,

내 업종의 고객이 검색할 때 얼마나 구체적인가”입니다.

검색이 구체적일수록 구문 일치,

검색이 추상적일수록 확장 일치가 맞습니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는 또 한가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광고비가 누수되고 있는 키워드를 "제외"처리를  꼭! 해주셔야 합니다.


3. 키워드 세팅방법
자 그럼 키워드 세팅하는 법을 알아볼까요?


image.png

생성해둔 그룹 안에서 +버튼으로 키워드를 추가해줍니다.

저는 교육업종을 예시로 키워드 세팅을 해볼겁니다.


image.png

국비지원이 가능한 교육업종이라는 가정하에 다양한 교육들 중 국비지원이 안되는 경우의 교육이 더 많기 때문에 국비지원이랑 내일배움을 넣어줍니다.

image.png

기본설정은 전부 확장검색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선택해서 검색유형을 바꿔줄거에요

image.png

image.png

image.png

그럼 이제 끝일까요? 아닙니다.

SA 검색광고에서의 가장 중요한건 세팅이 아닌 "관리"입니다

image.png좌측 카테고리에서 통계 및 보고서 → 검색어 항목으로 들어가주면 선택한 그룹 내 노출되었던 검색어와 성과를 볼수 있어요.

여기서 전환성과가 없거나 우리 업종과는 관계가 없는 키워드들을 지속적으로 제외처리 해줘야합니다. 
예를 들어 국비지원 교육을 제공하고 있지만 IT와 관련된 국비가 없다면 IT국비지원 키워드를 제외처리 해야 불필요한 CPC누수를 막아낼 수 있겠죠?

반대로 IT국비교육을 실제로 제공하고 있으며 해당키워드에 대한 성과가 좋을 경우 
해당 키워드만 새로운 그룹으로 만들어서 "일치검색"유형을 통해 섬세하고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검색광고는 이미 해보신 분들과 하고 계신 분들도 많이 계실겁니다. 

그렇다면 아실거에요. 많은 광고주 분들이 광고 대행을 필요로 하는것은 광고에 대한 세팅법과 관리법 등 이해도 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을요.

검색광고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꾸준한 관리, 섬세한 손질로써 승부가 가려집니다.

관리가 어렵다거나 힘들다고 느끼시는 분들은 언제나 대환영입니다. 

부담없이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 3본부 3팀 이동명 PRO

02-6049-1162
ldm@ampm.co.kr


첨부 파일
관련 광고 상품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가설 증명 마케터

계산한 대로 증명을, 의도한 대로 결과를
철저히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가설을 세워 증명시켜나가는 마케터입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