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을 넘어, 의도를 설계하라”

이동규 마케터
2025-11-06
조회수 : 55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 퍼포먼스 2본부 1팀 이동규 AE입니다 :)
오늘은 '구글 광고'를 이해를 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구글 광고] : 거대한 광고 생태계
= 검색광고(Search Ads) +디스플레이 광고(Display Ads) + 쇼핑광고(Shopping Ads) +유튜브 광고(YouTube Ads) +앱 광고(App Campaigns)
1. 구글 광고의 구조
| 구분 | 주요 위치 | 특징 | 대표 목적 |
|---|---|---|---|
| 검색광고 (Search Ads) | 구글 검색결과 상단 | 키워드 기반, 구매의도 강함 | 전환 중심 |
| 디스플레이광고 (GDN) | 파트너 사이트, 앱, 유튜브 등 | 이미지·배너 중심 | 인지도, 리타게팅 |
| 쇼핑광고 (Shopping Ads) | 검색결과 우측 또는 상단 | 상품 이미지+가격 노출 | 이커머스 매출 |
| 유튜브 광고 (YouTube Ads) | 영상 전·중간 노출 | 영상 기반, 브랜드 스토리 전달 | 인지도·브랜드 강화 |
| 앱 광고 (App Campaigns) | 구글 전 채널 통합 | AI 기반 자동 최적화 | 앱 설치·활성화 유도 |
① 검색광고 (Google Search Ads)
- 의도 기반 전환 광고
- 사용자가 직접 검색한 키워드에 즉각 반응하므로 구매의도가 가장 높음
** 전략 구조 **
1. 키워드 전략 : 브랜드 키워드(예: “자사 브랜드명”)와 일반 키워드(예: “가죽소파 추천”)를 분리.
2. 매칭 옵션 : 정확 일치(Exact), 구문 일치(Phrase), 확장 일치(Broad) 적절히 혼합.
3. 광고 확장 : 전화, 사이트링크, 설명 확장문구 적극 활용 → 클릭률 상승.
4. 입찰 전략 : 초반엔 CPC 수동 → 데이터 확보 후 *'Target CPA’ , **'Maximize Conversion’ 전환.
*Target CPA’ : 목표 전환당 비용 / “한 번의 전환(구매, 문의 등)을 얻는 데 이 정도 비용을 쓰겠다” 라는 목표를 정하면 구글이 목표를 맞추기 위해 자동으로 입찰가를 조정.
**‘Maximize Conversion’ : 전환 최대화 / “정해진 예산 안에서 가능한 한 많은 전환을 만들어라” 라고 하면 구글이 자동으로 입찰가를 조정하면서 전환 수를 극대화 하는 것.
② 퍼포먼스 맥스 (Performance Max, PMAX)
- 구글 전 채널(검색, GDN, 유튜브, Gmail, 지도 등)을 통합 자동 운영하는 AI 캠페인
- 광고소재만 넣으면 나머지는 구글이 알아서 ‘최적 조합’을 찾아냄
** 장점**
1. 전환 중심 자동 최적화 → 운영 효율성 높음
2. 신규 고객 확장력 탁월
3. 소재별 퍼포먼스 분석 가능
** 단점**
1. 완전 자동이라 세밀한 제어 어려움
2. 학습기간 (약 2주) 동안 성과 변동 있음
3. 충분한 전환 데이터 (최소 30건) 필요
③ 유튜브 광고 (YouTube Ads)
- '인지–관심–전환’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풀 퍼널 미디어.
- 특히 브랜드 스토리텔링에 탁월.
** 유형**
1. 인스트림 (건너뛰기 가능) : 영상 전, 중간 노출 / CPV 과금, 인지도 높임
2. 인스트림 (건너뛰기 불가능) : 6초 이하 노출 / 강제노출, 짧은 임팩트
3. 범퍼 광고 : 6초 이하 짧은 영상 / 대량 노출용
4. 디스커버리 광고 : 추천 영상 위치 / 탐색형, 클릭 유도형
5. 쇼츠 광고 : 유튜브 쇼츠 피드 / 세로형, 짧고 강렬한 인상
2. 강점
* 검색의도 기반 광고
= "구매할 준비가 된" 사용자 바로 타겟 가능 EX) "서울 가죽 소파 추천" → 가구 쇼핑몰 광고 노출 → 전환률 높음
* AI 기반 자동 입찰 / 최적화
= 머신러닝 기반 자동 입찰 → 예산 대비 효율 관리가 쉬움
* 정교한 타겟팅
= 키워드, 인구통계, 위치, 기기, 리마케팅 리스트 등 세분화 가능
* 유튜브, GDN 연계 효과
=인지도 → 검색 → 전환으로 이어지는 풀 퍼널 설계 가능
3. 약점
* 경쟁 키워드 비용 상승
= 보험, 학원, 부동산 헬스케어 분야는 CPC가 매우 높음
* 학습 기간 필요
= 머신러닝 기반이라 충분한 데이터 확보 전엔 성과 변동이 큼
* 비주얼 표현 한계
= 텍스트 중심이라 감성, 브랜드 스토리 전달은 어려움
= 브랜딩 목적엔 유튜브나 GDN이 필요함
****전략 포인트****
1. 즉시매출 / 전환 : 검색광고 + 쇼핑광고 = 구매의도 키워드 / 브랜드 키워드 분리 운영
2. 브랜딩 / 인지도 : 유튜브 광고, GDN = 상위 퍼널 중심, 시각적 임팩트 강조
3. 리타게팅 : GDN, 유튜브, 검색 = 방문자 행동 데이터 기반 맞춤 소재
4. 신규 고객 확보 : 디스커버리 광고 , 퍼포먼스 맥스 = AI 기반 자동 확장 타깃, 소재 다양화
구글 광고는 “의도 기반 퍼포먼스”의 핵심 플랫폼 입니다.
네이버가 ‘탐색형 구매’에 강하다면, 구글은 ‘즉시 전환형 검색’과 ‘글로벌 확장성’에 강점을 가집니다.
단순 클릭보다 퍼널 전체를 아우르는 캠페인 설계가 핵심입니다.
고객의 의도에서 전환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퍼모먼스 생태계에서
데이터를 읽고 전략으로 완성하는
이동규AE 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
마케팅 인사이트
전체 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