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브랜드 인지를 위한 광고
목표 :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각인시키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하여 향후 구매를 위한 잠재의식 속 고유 느낌 만들기
🎯 광고 목적
브랜드 인지 광고는 당장의 클릭이나 구매 전환율을 목표로 하지 않습니다. 핵심은 소비자가 광고 중이 아닐 때, 즉 실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브랜드를 마주했을 때 머릿속에 그려지는 단 하나의 느낌, 즉 무의식 속 그 브랜드만의 느낌을 떠올리게 끔 만드는 것입니다.
Ex) 참이슬 소주 광고 : 소비자가 SNS 광고를 보고 바로 소주를 구매할 수는 없지만, 매장에서 참이슬을 봤을 때 모델의 이미지, '깨끗함'이라는 느낌이 떠오르게 만드는 것이 이 광고의 최종 목표입니다.
✅ 성과 측정 기준 (KPI)
도달 수 : 얼마나 많은 사용자에게 광고가 노출되었는가.
노출 빈도 : 사용자 한 명당 평균 몇 번 노출되었는가.
2. 매출과 연계되는 광고
목표 : 광고 클릭 후 랜딩 페이지 이동 및 실제 구매라는 명확한 행동 유도를 통해 즉각적인 매출 성과를 창출하는 것.
🎯 광고 같지 않은 광고매출 연계 광고는 광고 > 랜딩페이지 > 구매라는 명확한 프로세스를 가집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SNS 이용자에게 '거부감'이라는 마찰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광고 같지 않은 광고', 즉 자연스러운 콘텐츠 형태로 접근해야 합니다.
Ex) 짐웨어 메타 영상광고 : 자연스러운 실착 영상 광고는 일반적인 SNS 콘텐츠처럼 느껴져 심리적 장벽이 낮아집니다.


광고목적 : 구매
타겟팅 : 구매 의도 높은 유사 타겟
랜딩 페이지 : 최적화된 구매 페이지 구성
✅ 성과 측정 기준 (KPI)
ROAS : 광고비 대비 매출액 비율 (가장 중요한 지표)
CPC : 클릭당 비용 관리로 비용 효율성을 확인합니다.
CTR : 광고를 얼마나 매력적으로 클릭하게 만들었는가
구매 전환율 : 랜딩 페이지 도달자 대비 실제 구매자 비율.
결론 : 두 목표의 시너지와 마케터의 역할
브랜드 인지 광고가 씨앗을 뿌리는 일이라면, 매출 연계 광고는 열매를 수확하는 일입니다.
성공적인 마케팅은 이 두 가지 목표가 상호 보완적으로 시너지를 내는 구조를 만듭니다. 인지 광고로 잠재고객을 넓히고, 이들에게 매출 연계 광고로 정교하게 리타겟팅 하여 최종 구매를 이끌어내는 것입니다.
마케터는 이 두 캠페인의 예산 배분, 소재 기획, KPI 측정을 전략적으로 관리하며, 광고주의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자세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합니다.
위 캠페인 설정 및 관리와 자세한 해결책을 통해 매출 상승을 경험해보고 싶으신 분들 계시면, 지금 즉시 연락주세요 !
1대1 맞춤형 자세한 분석을 통해 매출을 책임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